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장마 예상 기간 2025, 중부지방

by 해피타임으로 2025. 4. 17.

목차

    반응형

    장마 예상 기간 2025, 중부지방

    장마는 아시아 몬순 기후권에서 나타나는 계절적 기상 현상으로, 여름철에 일정 기간 동안 비가 집중적으로 내리는 현상을 말합니다.  장마 예상 기간 2025, 중부지방을 알아 보겠습니다.

    우리나라의 장마는 일반적으로 6월 하순부터 7월 하순까지 발생하며, 북태평양 고기압과 오호츠크해 고기압이 충돌하는 경계에 형성된 정체전선(장마전선)이 원인입니다. 이 전선이 한반도에 걸치면서 지속적인 강우를 동반하게 되며, 이 시기를 흔히 ‘장마철’이라고 부릅니다.

    장마의 가장 큰 특징은 짧은 기간 내 많은 비가 내리는 것으로, 수일 또는 수주 동안 이어지는 비는 농업, 건설, 일상생활 전반에 영향을 미칩니다. 최근에는 단순한 지속성 강우보다는 국지성 집중호우, 게릴라성 폭우, 열대성 저기압과 결합한 호우 등의 양상으로 진화하고 있어, 장마에 대한 경각심이 과거보다 더욱 필요해지고 있습니다.


    중부지방 장마 예상기간 (서울 포함)

    2025년 중부지방의 장마는 6월 25일 전후에 시작되어 7월 26일경 종료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는 기상청 장기예보와 과거 평균치를 토대로 분석한 결과로, 평균 장마 지속일수는 약 31.5일, 강수일수는 약 17.7일로 예측됩니다. 중부지방에 속하는 서울의 장마도 이 일정과 같으며, 서울 시민들은 6월 말부터 7월 말까지 약 한 달간 장마의 영향권에 들어가게 될 것입니다.

    특히 최근 몇 년간의 장마 패턴을 보면, 일정 기간 동안 지속적으로 비가 내리기보다는 간헐적으로 강한 비가 반복되는 형태를 보이기 때문에 실시간 강우 예보를 자주 확인하고, 갑작스러운 호우에 대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남부지방 장마 예상기간

    2025년 남부지방의 장마는 중부지방보다 조금 빠른 6월 23일경에 시작되어 7월 24일경 종료될 것으로 보입니다. 장마 기간은 평균 31.4일이며, 강수일수는 17일 정도로 예상됩니다. 부산, 대구, 광주 등 남부 주요 도시들 역시 이 시기에 영향을 받으며, 기온이 더 높은 지역 특성상 증발량과 습도도 높아 장마철 특유의 후덥지근함이 더욱 심할 수 있습니다.


    제주도 장마 예상기간

    제주도는 남해와 인접해 있어 장마전선의 영향권에 가장 먼저 진입합니다. 2025년 장마는 6월 19일경 시작되어 7월 20일경 종료될 것으로 전망되며, 장마 기간은 약 32.4일, 강수일수는 17.5일 정도로 예측됩니다. 특히 제주도는 해양성 기후의 영향을 강하게 받아 짧은 시간에 많은 비가 쏟아지는 국지성 호우가 자주 발생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는 산사태, 도로 침수, 하천 범람 등의 피해로 이어질 수 있어 미리 대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장마 이후 ‘가을장마’ 가능성

    장마가 끝나는 시점인 7월 말에서 8월 초에는 한동안 날씨가 소강상태를 보이다가, 8월 하순부터 다시 비가 이어지는 ‘가을장마’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 시기의 강우는 여름 장마보다는 지속성이 떨어지지만, 농작물의 수확 시기와 겹쳐 농업 피해를 유발할 수 있는 변수로 작용합니다. 또한 가을장마는 열대저기압과 태풍의 영향을 함께 받기도 하므로, 강풍과 집중호우가 결합된 형태로 나타나기도 합니다.


    장마철 생활 속 대비 방법

    1. 배수시설 점검: 장마 시작 전에는 반드시 집 주변의 배수구, 우수관, 창문 틈새 등을 점검하여 침수 가능성을 줄여야 합니다.
    2. 전기 안전관리: 다습한 환경에서의 누전 위험을 줄이기 위해 콘센트, 멀티탭 등을 정리하고 방수 처리를 해야 합니다.
    3. 차량 침수 방지: 차량은 지대가 낮은 곳보다는 고지대 주차장에 보관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4. 건강관리: 고온다습한 환경은 피부 질환과 곰팡이 발생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실내 제습과 청결 유지가 중요합니다.
    5. 농업 대비: 밭의 배수로를 미리 정비하고, 작물은 보호 피복을 덮어 빗물 피해를 최소화해야 합니다.

    기상정보 확인 경로

    장마철에는 기상청 홈페이지(날씨누리), 모바일 앱(기상청 날씨 ON, 웨더아이 등), 민간 기상 서비스(케이웨더, 윈디) 등을 활용해 실시간 예보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특히 호우특보, 기상특보는 시간 단위로 갱신되므로 알림 기능을 설정해 빠르게 정보를 받아볼 수 있도록 준비하는 것이 좋습니다.


    서울 장마 끝나는 시기

    서울 장마 끝나는 시기는 7월 26일경 종료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는 중부지방의 평균 장마 기간인 약 31.5일과 강수일수 17.7일과도 일치합니다. 서울 역시 중부지방에 속하므로, 장마 시작일은 6월 25일경, 종료일은 7월 26일경으로 예측됩니다.


    종합 정리

    지역 장마 시작일 장마 종료일 장마기간 강수일수
    제주도 6월 19일 7월 20일 32.4일 17.5일
    남부지방 6월 23일 7월 24일 31.4일 17일
    중부지방 6월 25일 7월 26일 31.5일 17.7일
    서울 6월 25일 7월 26일 31.5일 17.7일

    2025년 장마는 예년과 유사한 형태를 보일 것으로 전망되지만, 국지성 집중호우의 가능성은 더욱 높아지고 있는 추세입니다. 따라서 단순히 날짜만 확인하는 것이 아니라, 실시간 기상 정보와 지역별 특성을 함께 고려한 대비책 마련이 필수적입니다. 장마가 끝난 후에도 가을장마가 찾아올 수 있으므로, 여름철 전반에 걸쳐 장기적인 기상변화에 주의를 기울여야 할 것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