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이빨 시세
금값이 연일 고공행진을 이어가는 요즘, 오래전에 뺐던 금이빨을 다시 떠올리는 사람들이 많아졌습니다. 예전에는 버리거나 서랍에 넣어두기 일쑤였던 금이빨이, 이제는 생각보다 괜찮은 시세로 거래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본 글은 금이빨 시세와 은이빨 팔 때 시세도 알아 보겠습니다.
2025년 5월 기준 한국금거래소 시세에 따르면, 순금(24K) 1돈(3.75g)은 약 63만 5천 원에 거래되고 있습니다. 1g당 환산하면 약 169,333원입니다. 그러나 대부분의 금이빨은 순금이 아닌 14K 또는 18K로 제작되어 있어, 실제 거래가격은 함유된 금 비율에 따라 달라집니다.
금이빨의 금 함량은? 보통은 14K, 드물게 18K
치과용 금은 경도와 내구성이 중요하기 때문에 100% 순금으로 만들지 않습니다. 보통은 다음 두 가지가 사용됩니다.
- 14K 금이빨: 금 함유율 약 58.5%
- 18K 금이빨: 금 함유율 약 75%
14K 금이빨 1g의 시세는 순금 시세에 비례해 계산할 수 있습니다.
- 순금 1g 기준 시세: 약 169,333원
- 14K 금 1g 시세: 약 99,100원 (169,333원 × 0.585)
- 18K 금 1g 시세: 약 127,000원 (169,333원 × 0.75)
예를 들어, 금이빨 하나가 약 2g이라면 다음과 같이 환산됩니다.
- 14K 금이빨 1개 (2g 기준): 약 198,200원
- 18K 금이빨 1개 (2g 기준): 약 254,000원
금 종류 | 금 함량(karat) | 1돈(3.75g) 매입 예상가 (부가세 별도) | 1g 매입 예상가 (부가세 별도) | 비고 |
18K 금이빨 | 75% | 약 480,000원 | 약 128,000원 | 일반적인 매입가 기준 |
14K 금이빨 | 58.5% | 약 370,000원 | 약 98,667원 | 대부분 14K 금이빨 기준 |
- 참고사항
금이빨은 합금 비율, 상태, 디자인 등에 따라 매입가가 다소 변동될 수 있습니다.
치과용 금 이외에 포함된 합금과 기타 재료가 가격에 영향을 줍니다.
정확한 가격 산정은 전문 감정과 매입처 상담이 필요합니다.
금이빨을 되파는 현실적인 방법
금이빨을 되팔기 위해서는 다음 사항을 고려해야 합니다.
- 위생 문제로 인한 제한
치과에서 제거한 금이빨은 의료용 폐기물로 분류될 수 있기 때문에 치과에서 직접 돌려주는 경우는 제한적입니다. 요청 시 환자에게 반환해 줍니다. - 금이빨의 합금 구성
금이빨에는 금 이외에도 은, 백금, 팔라듐, 구리 등이 혼합되어 있습니다. 치과 금속은 내식성과 강도가 중요하기 때문에 금 함량만으로 가치를 판단하기는 어렵습니다. 감정사가 정밀 분석을 통해 순도와 중량을 따로 평가해야 합니다. - 매입처 선택
- 금은방이나 귀금속 전문점: 함유율을 테스트하고 금 시세에 맞게 매입
- 온라인 금 매입 서비스: 중량과 사진 등을 통해 견적 후 우편 수거 및 거래 가능
- 치과 폐금 전문 업체: 치과에서 수거한 의료용 금속을 재정제하는 경로
금이빨 시세가 다시 주목받는 이유
최근 금값 상승은 글로벌 경제 불안, 인플레이션 우려, 달러 약세 등의 영향으로 수요가 늘어난 결과입니다. 특히 한국 내 금테크 열풍으로 인해 ‘초미니 골드’ 모으기부터 ‘황금 퍼즐’까지 다양한 금 투자 방식이 부각되고 있습니다. 이와 더불어 소외됐던 금이빨도 다시 주목받고 있는 것입니다.
과거에는 일부 금이빨이 단순 금속 쓰레기로 분류되기도 했지만, 현재는 소량이라도 금이 함유되어 있다면 수익화 가능한 자산으로 인식됩니다. 실제로 TV 중고 거래 프로그램이나 SNS를 통해 금이빨을 사고파는 사례도 심심치 않게 등장합니다.
주의사항: 금이빨 시세에 대한 과대 기대는 금물
금이빨은 고가의 금 장신구와 달리 대부분 합금 형태이기 때문에 기대했던 것보다 낮은 금액에 거래될 수 있습니다. 또한 위생 및 정제 과정에서 추가 비용이 발생하기 때문에 일반 순금 매입 가격보다 20~30%가량 낮은 가격이 책정되기도 합니다.
예를 들어 14K 금이빨 1g 기준으로 약 99,100원이지만, 실제 매입가는 7만 원 내외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금 거래소마다 가격은 다르기 때문에 반드시 비교 견적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은이빨 시세
은이빨을 판매할 때는 순은 가격과 치과용 은 합금 상태, 사용된 은의 순도에 따라 매입가가 달라집니다. 일반적으로 은이빨은 ‘실버925’가 많이 사용되며, 순은 가격보다 약간 낮은 가격에 매입됩니다.
2025년 5월 기준 은이빨 매입 예상가는 다음과 같습니다.
- 은 1g 매입가: 약 1,000원 ~ 1,100원 (부가세 별도)
- 1돈(3.75g) 기준 매입가: 약 3,750원 ~ 4,125원 (부가세 별도)
은이빨은 금이빨에 비해 시세가 낮아 큰 수익을 기대하기 어렵지만, 재활용 가치가 있어 불필요한 은이빨은 매입처에 문의해 판매할 수 있습니다.
금이빨 시세 Q&A
Q1. 금이빨에도 부가가치세가 붙나요?
A. 일반적으로 개인이 중고 귀금속을 매도할 때는 부가세 대상이 아니지만, 금 거래소의 정책에 따라 수수료나 감정료가 따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Q2. 금이빨을 녹여서 팔 수 있나요?
A. 가능합니다. 그러나 재정제 과정이 필요하므로 추가 비용이 발생하며, 원재료 무게 대비 실제 회수되는 금의 양도 줄어들 수 있습니다.
Q3. 금이빨 무게를 집에서 측정해도 되나요?
A. 간단한 전자저울로 대략적인 무게를 확인할 수 있지만, 정확한 가치 산정은 전문 장비가 있는 곳에서 측정해야 합니다.
Q4. 치과에 부탁하면 금이빨을 돌려주나요?
A. 대부분의 치과는 요청 시 환자에게 금이빨을 반환해줍니다. 단, 의료 폐기물로 분류될 수 있어 따로 요청해야 받을 수 있습니다.
Q5. 금이빨은 몇 g 정도일까요?
A. 평균적으로 1개당 1g~3g 사이이며, 크기와 위치에 따라 다릅니다. 작은 인레이는 1g 이하일 수도 있습니다.
Q6. 금이빨도 금 시세에 따라 가격이 오르나요?
A. 예, 금이빨의 금 함량 비율에 맞춰 금 시세가 반영됩니다. 다만 순금이 아니므로 일반 금보다 매입가는 낮습니다.
Q7. 금이빨 속에 금 말고도 뭐가 들어있나요?
A. 은, 백금, 팔라듐, 구리 등의 금속이 혼합되어 있습니다. 이 때문에 금 함량 분석이 필요합니다.
지금 내 금이빨은 얼마일까?
만약 오래된 금이빨이 집안 어딘가에 있다면, 단순한 쓰레기로 보기보다는 금 시세에 맞춰 정식으로 감정 받아보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 금값이 높은 5월과 같은 시기엔, 금이빨도 '작지만 알찬 금테크 수단'이 될 수 있습니다.
금이빨 하나가 수십만 원의 가치를 가질 수 있다는 사실은, 과거엔 몰랐던 기회이자 현재엔 현실입니다. 단, 감정과 판매는 반드시 정식 경로를 통해 안전하게 진행해야 합니다.
'경제 사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임과 중임의 차이 (0) | 2025.05.19 |
---|---|
공무원 정년연장 65세 시행 시기 (0) | 2025.05.19 |
돌반지 1돈 가격 (0) | 2025.05.16 |
은시세 1돈가격 (0) | 2025.05.13 |
공무원연금 수령시기 (0) | 2025.05.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