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경남 산청 산불 강풍으로 확산, 산불위기경보 단계
경남 산청군 시천면에서 발생한 산불이 강한 바람을 타고 빠르게 번지면서 추가 피해가 우려되고 있습니다. 당국은 주민 대피령을 확대하고 산불 진화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강풍으로 인해 불길 급속 확산
이번 산불은 지난 21일 경남 산청군 시천면 신천리 산 39일대에서 시작되었습니다. 초기에는 비교적 빠르게 진화가 진행돼 22일 오전 8시 30분 기준으로 55%의 진화율을 기록했으나, 같은 날 오전 11시 50분경 강풍이 불면서 불길이 다시 확산되었습니다.
당초 70%까지 진화된 상태였던 불길이 바람을 타고 강을 건너 맞은편 산까지 번지면서 상황이 급격히 악화되었습니다. 오후 2시 현재 도로변까지 화염이 접근하며, 산불 진화대원들은 차량 통제와 불길 진화 작업을 동시에 수행하는 등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강한 바람으로 인해 진화대원들이 위험에 노출되고 있으며, 일부 민가에도 불길이 번지면서 주민들이 속수무책으로 불길을 지켜볼 수밖에 없는 상황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대규모 인력과 장비 투입
산불 확산을 막기 위해 정부와 소방 당국은 대규모 인력과 장비를 동원해 총력 대응에 나섰습니다.
- 헬기 투입 현황(총 43대)
- 산림청: 19대
- 지자체: 7대
- 소방청: 1대
- 국방부: 2대
- 경찰청: 1대
- 진화 인력(총 1,365명)
- 산불 진화대: 303명
- 공무원: 380명
- 소방대원: 247명
- 의용소방대: 82명
- 군부대: 118명
- 경찰: 156명
- 국립공원 직원: 54명
- 기타 인력: 25명
오후 1시 기준, 산림청과 지자체, 국방부 등에서 지원한 헬기와 함께 총 121대의 진화 장비가 현장에 투입된 상태입니다.
주민 추가 대피령 발령
산불이 더욱 확산되면서, 당국은 시천면의 송하, 내공, 외공, 중태, 후평, 반천, 불계, 신천 등 8개 마을 주민과 등산객들에게 즉시 대피할 것을 당부했습니다.
앞서 시천면 7개 마을 주민 213명이 한국선비문화연구원으로 대피한 바 있으며, 이 과정에서 1명이 연기 흡입으로 인해 병원으로 옮겨졌습니다.
산불 발생 원인
당국의 조사에 따르면, 이번 산불은 현장에서 작업 중이던 인부가 예초기를 사용하다가 날이 돌에 부딪치면서 발생한 불꽃이 발화 원인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산림 당국은 이 산불을 3단계(주의) 수준의 대형 화재로 분류하고 있으며, 추가 확산을 막기 위해 인력과 장비를 계속해서 투입하고 있습니다.
산불 발생 시 안전 대피 요령
산불이 발생하면 신속하고 침착한 대응이 필수적입니다. 다음은 산불 발생 시 안전하게 대피하는 방법입니다.
- 즉각 대피하기
- 산불 발생 시 당국의 대피 지시에 즉시 따르고, 연기가 퍼지는 방향을 피해서 이동합니다.
- 불길이 번지는 방향과 반대쪽으로 신속히 대피해야 합니다.
- 필수품 챙기기
- 신분증, 휴대전화, 충전기, 현금, 생수, 응급약품, 마스크 등 최소한의 생필품을 챙겨야 합니다.
- 불필요한 짐을 챙기느라 대피가 늦어지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 연기와 화염으로부터 몸 보호하기
- 긴소매 옷과 긴바지를 착용하고, 모자와 장갑을 착용해 화상을 방지합니다.
- 마스크나 젖은 천으로 코와 입을 막아 연기 흡입을 최소화해야 합니다.
- 안전한 장소로 이동하기
- 지정된 대피소로 이동하며, 당국의 안내를 철저히 따릅니다.
- 차량 이동이 어려울 경우, 보행으로 신속히 대피하는 것이 더 빠를 수 있습니다.
- 불길이 가까워지면 취해야 할 행동
- 낮은 자세를 유지하고, 연기가 심할 경우 물에 적신 천으로 코와 입을 가린 채 이동합니다.
- 대피가 어려운 경우, 콘크리트 건물이나 바위 뒤쪽 등 상대적으로 안전한 구조물로 이동해야 합니다.
- 산불이 진압된 후 주의할 점
- 산불이 완전히 진압될 때까지 집으로 돌아가지 말고, 당국의 지시에 따라야 합니다.
- 산불이 지나간 지역에서도 불씨가 남아 있을 수 있으므로 절대 함부로 접근해서는 안 됩니다.
총력 대응 중… 주민들의 안전이 최우선
당국은 산불 확산을 막기 위해 지속적으로 헬기와 인력을 투입하며, 조속한 진화를 목표로 총력을 다하고 있습니다. 주민들께서는 대피 지침을 철저히 따르고, 안전한 장소로 신속히 이동하시길 바랍니다.
'경제 사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울산 산불 재확산, 주민 대피령 추가 발령 (0) | 2025.03.23 |
---|---|
서울 지하철 2호선 탈선 사고, 신도림역 열차 복구 시기 (0) | 2025.03.23 |
연금개혁, 내 연금 얼마만큼 달라질까 (0) | 2025.03.20 |
오늘의 금시세 18k 1돈 가격 팔 때 금값 (0) | 2025.03.19 |
교사 정년퇴직 나이 (0) | 2025.03.19 |